etymology 13

《Bike는 조선말 비켜! 에서 유래》

《Bike는 조선말 비켜! 에서 유래》 BIKE 바이크는 자전거를 말하지만 사실은 서아시아에 수령으로 파견된 선비들이 행차하실때 개 비키거라! 개 섰거라! 물렀거라!의 《비켜》에서 유래된 조선말 사투리입니다. Bikecyle 또한 비켜셔레 ,비켜켜레(라), 비켜셔리로 이북 사투리입니다. 사전을 검색하면 벌집 , 무리로 기록된것도 군집을 이룬 거리를 지나칠때 소리쳤기 때문입니다. cycle = 셔스리 = 사슬 ve hi cle = 비히끄레 , 비히스레 = 비켜크레,비켜스레 《예조 판서 정인지(鄭麟趾)의 서문에, "천지(天地) 자연의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천지 자연의 글이 있게 되니, 옛날 사람이 소리로 인하여 글자를 만들어 만물(萬物)의 정(情)을 통하여서, 삼재(三才)128) 의 도리를 기재하여 뒷세상에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4.26

■ 댓글이더냐? 뎃글이더냐? ■

■ 댓글이더냐? 뎃글이더냐? ■ 한글학자라 자칭하는 족속들이 하는짓은 참으로 과관이 아닐수없다. 여러분께서는 《댓글》이 논리적으로 맞겠습니까? 《뎃글》이 논리적으로 맞는 표기 이겠습니까? 결론 부터 말씀드리자면 《뎃글이 바른표기》입니다. 왜겠습네까 ? 이족속들은 우리 韓族의 의미문자 텬자문을 포기한 족속들입니다. 그러고서 유식한체 하려 단 두자 댓글이란 용어에 텬자문을 박아 넣습니다. 對 + ㅅ 그리고 글이란 용어가 합쳐져 합성어 댓글이 되었답니다. 보시다시피 ㅅ은 그냥 발음상 아무 의미 없이 붙였다는것은 다들 아실겁니다. 그러기에 사전적 뜻 해석에 아무 내용이 없습니다. 그러면 대(對)자의 사전적 뜻을 보시겠습니다. 1. 대하다(對--), 마주하다 2. 대답하다(對答--) 3. 대조하다(對照--), 맞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4.26

어원(etymology)

이세상 《언어=말》의 어원(etymology)은 정신《씨,입자,설입자,작은조각...혼,령..소리(솔=영혼)》이 하늘에서 내려짐을 의미합니다. 그것을 오늘날 조선말씨의 용어적 표현으로 어원을 풀이 하자면 그어지다(ㄱ) 느어지다(ㄴ) 드리어지다(ㄷ) 일해지다(ㄹ) 매지다(ㅁ) 부어지다(ㅂ) 서지다(ㅅ) 오지다(ㅇ) 주어지다(ㅈ) 처지다(ㅊ) 켜지다(ㅋ) 태어지다(ㅌ) 파지다(ㅍ) 해지다(ㅎ) 로 이게 조선의 소리 글씨 기본 문자의 어원(etymology)입니다. 즉 위와같이 태초의 어원(etymology)이 파생되어 오늘날 같이 많은 용어들이 파생됨을 알수있습니다. 《조선글씨어원연구회 》 https://www.gelssi.com/ 본문가기 https://story.kakao.com/mepssi/jN7XM4X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4.26